2025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은 6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됩니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지난 5월, 2025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이 평년보다 활발할 확률이 60%에 달한다고 전망했습니다. 13~19개의 명명된 폭풍, 6~10개의 허리케인, 그리고 3~5개의 메이저 허리케인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죠. 8월 중순에는 약간 조정된 전망을 발표했지만, 여전히 평년보다 높은 활동을 예상했습니다. 그리고 현재 10월 31일 기준으로, 대서양은 이미 13개의 명명된 폭풍, 5개의 허리케인, 4개의 메이저 허리케인을 기록하며 예측된 범위 내에서 활발한 시즌을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카리브해를 강타한 초강력 허리케인 '멜리사'는 2025년 허리케인 시즌의 강력함을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 멜리사는 불과 하루 만에 1등급에서 4등급으로, 그리고 최고 등급인 5등급 허리케인으로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며 자메이카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최소 7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습니다. 국립허리케인센터(NHC)는 이처럼 기록적인 허리케인의 발생 배경으로 평년보다 2~3도 높은 대서양 해수면 온도가 폭풍에 막대한 에너지를 공급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기후 변화가 허리케인의 발생 가능성과 강도를 높이는 주요 원인임을 시사합니다.
허리케인의 위협은 더 이상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닙니다. 언제든 우리 주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가 중요합니다.
허리케인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생존을 위한 비상용품 키트를 미리 준비하는 것입니다. 최소 3일 동안 버틸 수 있는 식수(인당 하루 1갤런), 통조림 등 비상식량, 응급처치 용품, 손전등, 여분의 배터리, 의약품, 중요한 문서 사본 등을 방수 용기에 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가족 비상 계획을 수립하여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연락하고 만날 장소를 정해두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전화 통화가 어려울 수 있으니 문자 메시지 등 다양한 소통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허리케인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택과 주변 환경을 미리 점검해야 합니다. 창문에 허리케인 셔터나 강화 창문을 설치하거나, 5/8인치 합판으로 창문을 보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집 주변의 나무와 관목은 미리 가지치기를 하여 강풍에 날아갈 위험을 줄이고, 배수관과 배수로를 청소하여 침수를 예방해야 합니다. 야외 가구나 물품은 실내로 들이거나 단단히 고정하여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합니다.
지역 당국의 대피 지침을 항상 주시하고, 대피 명령이 내려지면 즉시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피 경로를 미리 확인하고, 대피 시 필요한 생필품과 중요 문서를 챙겨야 합니다. 대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창문과 문에서 멀리 떨어진 집 안의 작은 방이나 안전실로 대피합니다. 높은 건물에 거주하는 경우 바람의 영향이 더 강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발전기는 절대 실내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주택 보험은 홍수 피해를 보장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허리케인 관련 위험을 보장하는 추가 보험 가입을 고려해야 합니다. 지역 비상 관리 사무실에서 제공하는 경보 및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고, 국립 허리케인 센터(National Hurricane Center)의 최신 예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EMA(연방재난관리청) 웹사이트(www.ready.gov/hurricanes)에서도 허리케인 대비에 대한 유용한 정보와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2025년 허리케인 시즌은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강력하고 예측 불가능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발생한 허리케인 '멜리사'와 같은 초강력 폭풍은 우리에게 경각심을 일깨워줍니다. 허리케인 시즌이 끝나가는 시점이지만, 언제든 새로운 위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심할 수 없습니다. 철저한 사전 계획과 준비만이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지금 바로 가족과 이웃을 위한 허리케인 대비 계획을 세우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시길 바랍니다.
A1: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은 매년 6월 1일에 시작하여 11월 30일에 끝납니다.
A2: 최소 3일치의 식수, 비상식량, 응급처치 용품, 손전등, 여분의 배터리, 의약품, 중요한 문서 사본 등을 포함해야 합니다. 반려동물을 위한 물품도 잊지 마세요.
A3: 창문과 문에서 멀리 떨어진 집 안의 작은 방이나 안전실로 대피하고, 탁자나 단단한 물체 아래에 엎드리는 것이 좋습니다.
A4: 발전기는 반드시 실외, 주택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실내에서 사용하면 일산화탄소 중독의 위험이 매우 큽니다.
0